[ 앵커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 부과를 돌연 유예하면서, 그 이유로 미 국채 시장의 불안정을 지목했습니다.

그런데 트럼프 대통령의 개인 금융자산에서 채권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자기 재산을 지키기 위한 결정이 아니었냐는 의혹이 나옵니다.

강재은 기자입니다.

[ 기자 ]

국제사회에 관세 전쟁을 선포해 전 세계 주식시장을 패닉으로 몰아갔던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9일 돌연 90일간 상호관세를 유예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유를 묻는 질문에 미 국채 시장을 봤는데 “사람들이 좀 불안해 하더라”며 급락한 장기 국채 가격이 주된 원인이었음을 시사한 바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의 금융자산 중 채권의 비중이 주식을 크게 앞지르는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뉴욕타임스가 지난해 기준 트럼프 대통령의 재산을 분석한 결과, 채권 투자액은 1억2천500만 달러에서 4억4천300만 달러 범위에 드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뉴욕타임스는 이 중 가장 적은 금액으로 따지면 트럼프 대통령의 금융자산 중 60%가 채권이고, 주식 투자 비율은 10% 미만에 그친다고 지적했습니다.

가장 보수적으로 봐도 채권 보유액이 주식의 2배였습니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유예 발표 후 채권 가격이 다시 오르자, 안도하는 듯한 발언을 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지난 11일)> “채권 시장이 잘 돌아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잠시 불안한 순간이 있었지만, 그 문제를 빠르게 해결했습니다. 저는 빠르게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참 잘하거든요. 제가 그렇게 잘 해결할 줄은 몰랐어요.”

뉴욕타임스는 이 같은 상황이 트럼프 대통령의 개인적 이익과 정치적 이해가 복잡하게 얽혀 있음을 잘 보여준다고 지적했습니다.

자기 자산을 백지위임하지 않으면서 윤리적 이해충돌이 빚어진다는 겁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들도 내부거래 의혹에 휘말린 상태입니다.

공화당 소속의 친트럼프 하원의원이 관세 유예 발표 전날, 최대 수십만달러의 주식을 산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입니다.

뉴욕 검찰이 트럼프 행정부 관계자 등의 내부자 거래 가능성을 조사 중인 가운데,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의 이익을 위해 행동하지 않았다고 반박했습니다.

연합뉴스 강재은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강재은(fairydust@yna.co.kr)

Share.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