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브 포브스 회장[UPI 연합뉴스 자료사진][UPI 연합뉴스 자료사진]

미국 경제매체 포브스의 스티브 포브스 회장이 미국 경제가 1970년대 인플레이션을 겪을 가능성을 경고했습니다.

포브스 회장은 현지시간 21일 폭스비즈니스와 인터뷰에서 “달러가 약세를 보이고 있고, 이는 항상 미래의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진다”며 “2023년 이후 금값이 온스당 1,800달러에서 3,400달러로 올랐다. 이는 앞으로 달러 약세로 갈 것이라는 확실한 신호”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이는 궁극적으로 시장의 혼란과 (상품) 가격 상승을 의미한다. 1970년대를 보면 지금 뭔가 조치를 하지 않으면 어떤 일들로 이어질지 알 수 있다”며 “안타깝게도 당국에 건설적으로 무엇을 해야 할지에 대한 어떤 아이디어가 있다는 아무런 징후가 안 보인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이어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인플레이션에 대해 잘 알지 못한다. 번영이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고 생각한다”며 “연준의 모델링 방식과 통화정책을 수행하는 방식 자체가 잘못됐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금리를 내린다고 해서 관세로 인해 발생하는 물가 상승과 불확실성을 해소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연준은 달러 가치를 결정하고 거기에 집중할 수 있지만, 지금 발생하는 나머지 인플레이션에 대해선 할 수 있는 일이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포브스 회장은 “앞으로 90일 안에 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가격이 올라갈 수밖에 없다. 왜냐면 사람들은 거래를 멈추지 않을 것이고 특정 물품들을 사야 하기 때문이다”라며 “불확실성이 가장 어려운 요인이다”라고 내다봤습니다.

#인플레이션 #포브스 회장 #연방준비제도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성섭(leess@yna.co.kr)

Share.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