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심각한 폐렴으로 입원 치료를 받은 뒤 퇴원해 조금씩 활동을 늘려가던 프란치스코 교황이 오늘(21일) 선종했다고 교황청이 밝혔습니다.

자세한 내용 보도국 연결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강재은 기자.

[기자]

네, 교황청은 현지시간 21일 오전 7시 35분, 프란치스코 교황이 88세의 나이로 선종했다고 밝혔습니다.

교황청은 이 같은 사실을 비디오 성명을 통해 밝혔다고 AP 통신 등 외신들이 보도했습니다.

올해 기관지염을 앓다가 건강이 나빠진 프랑치스코 교황은 지난 2월 이탈리아의 로마의 한 병원에 입원해 치료를 받았었는데요.

당시 두 번의 급성 호흡부전을 겪으며 위기를 맞았다가 회복됐으나, 고령에 결국 병환을 이기지 못했습니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장례는 고인의 생전 뜻에 따라 간소하게 치러질 것으로 보입니다.

교황청 궁무처장인 케빈 퍼렐 추기경은 프란치스코 교황의 삶 전체가 “주님과 교회를 섬기는 데 헌신했다”라고 말했습니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선종 소식에 전 세계에서는 애도의 목소리가 잇따랐습니다.

유럽연합은 교황의 선종을 애도한다며 그의 “생명에 대한 사랑, 평화에 대한 희망, 그리고 평등, 사회 정의에 대한 연민은 기억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프랑스, 독일, 이스라엘, 이란 등 각국 정상들도 애도의 뜻을 표했습니다.

최초의 남미 출신인 프란치스코 교황은 전임자인 베네딕토 16세 교황이 건강상의 이유로 퇴임한 뒤 2013년 콘클라베에서 선출됐습니다.

이후 지난 12년간 전 세계 14억명의 가톨릭 신자를 이끌어 왔습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특히 청빈하고 소탈한 행보로 즉위 직후부터 세계적인 관심을 끌었는데요.

또 성소수자나 불법 이민 문제 등 교회 내부에서도 관점이 갈리는 쟁점에 대해 개혁적인 목소리를 낸 것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즉위 직후 “내가 누구를 정죄하리오”라며 동성애 신자를 인정한 일화가 유명합니다.

또 가자지구와 우크라이나 등 분쟁으로 얼룩진 세계 곳곳에 평화와 공존의 메시지를 보낸 종교 지도자로도 평가받습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2014년 아시아 대륙 첫 방문지로 한국을 택할 정도로 한반도 평화 문제에도 깊은 관심을 보였는데요.

당시 교황은 방북을 추진했지만, 북한의 소극적 태도로 안타깝게도 무산됐습니다.

자금까지 보도국에서 전해드렸습니다.

#프란치스코_교황 #교황 #선종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강재은(fairydust@yna.co.kr)

Share.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