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탠퍼드대 국가별 재택근무 조사[이코노미스트 발췌][이코노미스트 발췌]

한국인이 재택근무하는 날이 일주일에 0.5일에 그쳐 전세계 40개국 중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현지시간 21일 영국 시사지 이코노미스트에 따르면 미 스탠퍼드대 연구진이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2월까지 40개국 대졸자 1만6천 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이후 재택근무 현황을 설문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습니다.

응답자들은 일주일에 평균 1.3일 재택근무를 해 2023년 같은 기간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습니다.

국가별로 보면 한국인은 일주일에 0.5일 재택근무를 했는데, 40개국 가운데 꼴찌였습니다.

일본이 0.7일, 중국이 0.6일로 한국보다 많았습니다.

캐나다가 1.9일로 재택근무를 가장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났고, 영국 1.8일, 미국 1.6일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연구진은 이 같은 차이를 설명하며 국가별로 산업 분야, 코로나19 대응, 재정 수준 등이 다르기 때문이라면서도, 가장 큰 이유로 문화적 차이를 꼽았습니다.

사회 분위기가 개인주의적인지 혹은 집단주의적인지에 따라 재택근무를 받아들이는 경향이 달라졌다는 겁니다.

연구진은 개인주의적 사회일수록 근로자들이 재택근무를 편안하게 받아들였으며, 임원들도 통제를 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습니다.

반면 집단주의가 강할수록 재택근무를 덜하는 추세가 뚜렸했습니다.

한국은 집단주의가 가장 강하면서 동시에 재택근무를 가장 덜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구진은 재택근무가 젊은 세대 업무 능력에 타격을 주고 있다고 진단했는데, 이들이 동료를 만나고 생각을 공유하는 기회가 줄어들고, 숙련된 동료를 보고 배울 여지도 적어진다는 겁니다.

하지만 재택근무로 통근 부담이 줄어들면서 원거리까지 주택 수요를 넓히는 이점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실제로 미주에서는 2019년 이후 대도시 20곳의 집값 상승률이 13%로 나타난 반면 교외에서는 30∼50% 치솟은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재택근무 #근무환경 #근로자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박지운(zwoonie@yna.co.kr)

Share.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