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로이터=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로이터=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정책과 중앙은행에 대한 금리 인하 요구에 유화적인 제스처를 취하면서 뉴욕증시가 상승 마감했습니다.

현지시간 23일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19.59포인트(1.07%) 상승한 39,606.57에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88.10포인트(1.67%) 뛴 5,375.86, 나스닥종합지수는 407.63포인트(2.50%) 급등한 16,708.05에 장을 마쳤습니다.

미국이 중국에 유화적 입장을 보인 데 이어 대중(對中) 관세를 절반 이상 인하하는 방안이 검토 중이라는 소식에 주가는 치솟았지만 미국이 대중 관세를 일방적으로 인하하진 않을 것이라는 입장이 전해지면서 오름폭은 상당 부분 축소됐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대중 관세를 인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만 중국으로부터 아무런 양보를 받아내지 못한 채 관세 인하를 검토하면서 미국에 대한 신뢰가 약해진 것으로 풀이됩니다.

글로벌트인베스트먼트의 키스 뷰캐넌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미국과 중국 간 갈등이 조금이라도 진정되는 것은 시장이 간절히 바라던바”라며 “시장은 안도감을 느끼고 있으나 아직 최종 단계에 도달한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습니다.

파이퍼샌들러는 “트럼프가 ‘해방의 날’ 이전에 시행했던 20% 관세를 제외한 모든 관세를 철회한다면 트럼프도 관세 정책을 대폭 축소하고 싶어 한다는 신호가 될 것”이라며 “우리는 미국과 중국이 단기 휴전을 맺는 가운데 대중 관세율은 145%보다는 훨씬 낮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습니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미국이라는 브랜드를 해치고 있으며 신뢰성에 흠을 내고 있다는 비판도 나왔습니다.

미국 헤지펀드 시타델의 켄 그리핀 창립자는 이날 “우리의 문화, 재정적 강점, 군사력에 이르기까지 미국은 단순한 나라 그 이상으로 부상했고 전 세계 대부분의 사람에게 미국은 하나의 이상이었다”며 트럼프가 지금 그 브랜드를 훼손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업종별로는 필수소비재와 에너지를 제외한 모든 업종이 올랐습니다.

기술은 2.9% 급등했고 임의소비재와 통신서비스도 2%대 강세를 보였습니다.

거대 기술기업 7곳을 가리키는 ‘매그니피센트7’은 모두 상승했고, 이 중 아마존과 메타는 4% 넘게 올랐습니다.

특히 테슬라는 전날 장 마감 후 실망스러운 1분기 실적을 발표했음에도 이날 5.37% 뛰었습니다.

관세 여파와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에 대한 비판으로 1분기 실적이 예상치를 크게 밑돌았으나 어느 정도 불확실성이 반영됐다는 관측이 매수세를 자극했습니다.

#뉴욕증시 #다우지수 #S&P500 #나스닥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신주원(nanjuhee@yna.co.kr)

Share.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