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중국에 대한 관세율을 145%까지 끌어올렸던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율 인하 의사를 다시 한번 내비쳤습니다.

그럼에도 미국이 먼저 관세를 내리지는 않을 것이란 전망속에, 여전히 중국과의 ‘빅딜’ 가능성은 언급되고 있습니다.

한미희 기자입니다.

[기자]

하루 전 중국에 부과하고 있는 관세가 너무 높다며 인하 가능성을 시사한 트럼프 대통령은 이튿날 시점까지 제시했습니다.

그는 관세율을 “2∼3주 안에 정할 것”이라며 얼마나 빨리 내릴 수 있을지는 중국에 달렸다고 말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현지시간 23일)> “나는 시 주석과 매우 잘 지내고 있고, 우리가 거래를 성사시킬 수 있길 바랍니다. 그렇지 않으면 우리가 정할 거고요. 그들이 여기로 와서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그러지 않아도 괜찮고요.”

앞서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은 미중 양국이 상대국에 부과하는 관세가 지속 가능한 수준이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 이것이 “무역 금수 조치에 상응하는 것이며 양국의 무역이 중단되는 건 모두의 이익에 부합하지 않는다”고도 말했습니다.

그는 양국의 협의가 진행되기 전에 관세율을 내려야 한다면서도 트럼프 대통령이 일방적으로 먼저 조치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베선트 장관은 수출에 기반한 중국의 경제 모델이 지속적으로 무역 불균형을 만든다고 비판하면서도 포괄적 합의 가능성을 열어뒀습니다.

<스콧 베선트 / 미국 재무장관 (현지시간 23일)> “미국이 더 많은 제조업으로 재균형을 찾고 있다는 점에서 큰 거래의 기회가 있습니다. 중국도 (수출 위주 경제의) 재균형을 원한다면 함께 합시다. 이건 엄청난 기회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대중 관세율에 대한 최종 결정을 하지 않은 가운데 절반 이하로 삭감하거나,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되는지 여부에 따라 차등 부과하는 방안 등이 고려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연합뉴스 한미희

#트럼프 #중국 #관세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한미희(mihee@yna.co.kr)

Share.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