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관세를 포함해 한미 양국의 무역과 통상 이슈를 포괄할 첫 번째 협의가 마무리 됐습니다.
미국이 부과한 상호관세 철폐가 이번 만남의 목표라고 밝혔던 우리 협상단은 우리시간으로 내일(25일) 새벽 구체적인 협의 결과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워싱턴 정호윤 특파원입니다.
[기자]
‘트럼프발’ 관세를 둘러싼 한미 양국의 ‘2+2’ 통상 협의는 현지시간 24일 오전 8시부터 1시간 가량 미국 재무부 청사에서 진행됐습니다.
우리측에서는 최상목 부총리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미국 측에서는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가 참석했습니다.
한미 양측 협상단은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대적으로 부과한 관세를 둘러싼 의견 교환을 나눈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비공개로 진행된 이번 만남의 구체적인 협의 결과는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앞서 우리 측은 한국에 책정된 25%의 상호관세를 90일의 유예기간 동안 미국과 협상해서 최대한 낮추는 것이 이번 회담에 임하는 1차 목표라고 밝혔습니다.
<안덕근/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그동안 준비해 온 걸 가지고 미국 측과 협의를 해서 말씀드린 것처럼 앞으로 협의를 할 수 있는 플랫폼과 그런 틀을 이번에 갖춰 나갈 계획입니다.”
우리 협상단은 상호관세 철폐 혹은 대폭 축소의 조건으로 미국이 희망하는 것들을 들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은 앞서 한국에 대한 무역적자를 줄이기 위해 미국산 액화천연가스의 수입을 늘리고, 조선 분야 협력 등을 제시해 왔습니다.
또 몇몇 ‘비관세 장벽’의 철폐 문제를 놓고도 의견을 교환한 것으로 관측됩니다.
우리 측은 주한미군 주둔비용, 방위비 분담금 문제는 이번 협의의 논의 대상이 아니라고 밝혔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포괄적 합의를 의미하는 ‘원스톱 쇼핑’을 강조해온 상황에서 미국이 방위비 재협상을 요구하며 구체적 제안을 했을 지 관심이 집중됩니다.
최 부총리는 베선트 재무장관과, 안 장관은 그리어 무역대표와 개별 협의도 진행할 계획입니다.
우리 협상단은 우리시간으로 25일 새벽 이번 협의의 구체적인 내용을 언론에 공개할 예정입니다.
워싱턴에서 연합뉴스TV 정호윤입니다.
#한미_통상협의 #관세 #방위비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정호윤(ikaru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