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우리 정부는 미국과의 고위급 통상 협의에서 상호관세 유예 기간을 충분히 활용한 포괄적인 합의 의사를 전달했는데요.

반면 트럼프 행정부는 조속한 협상 타결에 무게를 두는 모습입니다.

보도에 이치동 기자입니다.

[기자]

7월 8일까지 상호관세를 유예하고,

수십 개국과 동시다발로 협상에 나선 트럼프 행정부.

조기에 가시적인 성과를 내려고 속도전을 벌이는 기류입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현지시간 24일)> “협상으로 합의하든지, 아니면 우리가 공정하다고 생각하는 조건을 정할 겁니다. 모든 절차를 다 거치는 건 물리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분위기는 이날 한국과 미국 간 장관급 2+2 협의에서도 드러났습니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 (현지시간 24일)> “이르면 다음 주 (한국과) 상호 이해에 대한 합의가 이뤄지는 대로 기술적인 사항에 대해 논의할 겁니다.”

미국은 이미 인도와 무역 협상 운영세칙에 합의했습니다.

다음 주에는 일본과 제2차 고위급 관세 회담이 예정돼 있습니다.

미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는 트럼프 행정부가 각론보다는 ‘원칙적 합의’를 우선시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시간이 걸리는 세부 협상은 뒤로 미루고, 가능한 한 빠른 외교적 성과를 노리고 있다는 겁니다.

백악관은 우선, 한국과 일본 등에 알래스카 LNG 개발 사업 투자 발표를 압박하고 있다고 뉴욕타임스가 보도했습니다.

6월 초 열리는 ‘알래스카 LNG 서밋’에 양국 대표단의 참석을 요청했다고 덧붙였습니다.

하지만, 우리 정부는 내실 있는 협의를 강조하며, 서두르지 않겠다는 입장입니다.

6월 3일 대선을 앞둔 상황에서 졸속 협상에 따른 정치적 부담도 염두에 두고 있습니다.

최상목 경제부총리가 이번 협의에서 국내 정치 일정과 국회 협조를 언급하며 미국 측의 이해를 구한 것은 이런 맥락에서 나온 조치로 풀이됩니다.

연합뉴스 이치동입니다.

[영상편집 김세나]

#상호관세 #한미협의 #트럼프 #최상목 #베선트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치동(lcd@yna.co.kr)

Share.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