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슈미르 순찰하는 인도군[AP 연합뉴스 자료사진][AP 연합뉴스 자료사진]

인도가 북부 카슈미르 휴양지 총기 테러 사건의 배후로 파키스탄을 지목하고 파키스탄으로 흘러 들어가는 인더스강 물줄기를 차단하겠다고 하자 파키스탄이 정면 대응에 나서 양국 간 긴장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오늘(25일) 힌두스탄타임스 등에 따르면 전날 파키스탄 정부는 인도가 ‘인더스강 조약’의 효력을 중단하겠다고 선언한 데 대해 파키스탄에 할당된 지류를 차단하거나 우회시키려는 어떤 시도도 ‘전쟁 행위’로 간주하겠다면서 강경 대응에 나섰습니다.

인더스강 조약은 1960년 세계은행 중재로 양국이 체결한 조약으로, 인도에서 파키스탄으로 향하는 인더스강 지류의 흐름을 보장하는 내용입니다.

파키스탄은 수자원의 80%를 인더스강 지류에 의존하고 있어 이 물이 끊기면 수력발전 운영이 중단되고, 농업용 관개용수의 부족에 직면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파키스탄 정부는 “국가 역량 전반에 걸친 정면 대응”을 선언하면서 구체적인 조치로 인도 소유 또는 인도 운영 항공사의 자국 영공 진입을 금지했습니다.

또 제3국 경유 무역을 포함해 인도와의 모든 무역을 중단하기로 했습니다.

이 밖에도 인도 국민에게 발급되던 남아시아 특별비자 발급도 중단한다고 밝혔습니다.

파키스탄 총리실은 성명을 통해 “인도가 파키스탄 내에서 테러를 조장하는 행위를 중단하지 않는 한 1972년 체결된 심라 협정을 포함한 인도와의 모든 양자 협정 이행을 중단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인도와 파키스탄은 3차례 전쟁을 치른 뒤 인도 북서부 휴양지 심라에서 카슈미르 지역의 정전 경계선을 기준으로 카슈미르를 분할 통치하기로 협정을 체결했는데, 이 협정의 파기 카드까지 꺼내 든 것입니다.

양국 간 갈등은 지난 22일 인도령 카슈미르 지역 휴양지 파할감 인근에서 발생한 총기 테러가 발단입니다.

인도 정부는 관광객 등 26명이 사망하고 17명이 부상한 이 사건의 배후로 파키스탄을 지목하고 인더스강 조약 효력 중단을 선언한 것을 비롯해 양국 간 육로 차단, 파키스탄 국민에 대한 비자발급 중단, 인도 주재 파키스탄 공관원에 대한 기피 인물(페르소나 논 그라타) 지정 등의 조치를 취했습니다.

양국이 서로 적대적 조치로 대응하면서 일각에서는 군사적 충돌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됩니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전날 연설을 통해 테러범을 지구 끝까지 추격해 응징하겠다며 “이번 공격을 수행한 자들과 이를 계획한 자들 모두 상상할 수 없는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이에 이샤크 다르 파키스탄 외교부 장관은 언론 인터뷰를 통해 “인도의 물리적 조치가 있을 경우 우리는 같은 강도로 대응할 것”이라고 맞섰습니다.

전 인도 외무부 정책고문이었던 아쇼크 말릭은 AP통신과 인터뷰에서 “인도 내 군사 전략가들은 핵 억제 체계 안에서 재래식 무력을 사용할 여지가 있다고 본다”며 인도 지도부가 군사적 옵션을 현실적인 선택지로 보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인도 #파키스탄 #테러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권정상(jusang@yna.co.kr)

Share.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