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혼조로 마감했습니다.
단기 급등 이후 조정 심리가 지배적이었던 가운데 미국과 중국 간 무역협상이 공회전한다는 점이 투심을 억제했습니다.
현지시간 28일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14.09포인트(0.28%) 오른 40,227.59에,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3.54포인트(0.06%) 상승한 5,528.75에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반면 나스닥종합지수는 16.81포인트(0.10%) 밀린 17,366.13에 장을 마쳤습니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은 미국과 중국 간 무역협상이 제대로 굴러가지 않고 있다는 점을 확인했습니다.
베선트는 이날 언론 인터뷰에서 미국과 중국 간 협상을 재개하기 위해 중국 측에 전화할 계획이 있느냐고 묻자 “중국과 관련해선 어떻게 될지 두고 봐야 한다”며 “이는 중요한 문제”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중국 측에서도 지금 상황이 지속 가능하지는 않다고 보고 있을 것”이라며 “언젠가 그들이 우리에게 전화를 걸어올지도 모른다”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최근 전화 통화를 했으며 미국은 중국과 무역협상을 진행하고 있다고 거듭 밝힌 바 있지만, 중국 외교부는 두 정상 통화는 없었다며 중국은 현재 미국과 관세 협상을 진행하지 않고 있다고 반박했습니다.
이날 주요 주가지수는 장 중 낙폭을 1% 이상으로 늘리기도 했습니다. 나스닥 지수는 -1.46%, S&P500 지수는 -1.02%까지 낙폭을 확대했습니다.
최근 주가지수가 급반등한 데 따른 차익 실현성 조정이 나타난 것으로 풀이됩니다. 지난주 나스닥 지수는 6%, S&P500 지수는 4% 이상 오른 바 있습니다.
페퍼스톤의 마이클 브라운 수석 분석 전략가는 “주식 투자자들이 상당히 많은 양의 ‘희망’을 섭취한 것 같다”며 “무역 관련 불확실성의 정점이 이제 지나갔다는 생각에 사로잡혀 있는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이번 주 증시 분위기는 거대 기술기업 7곳을 가리키는 ‘매그니피센트7(M7)’의 실적이 좌우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옵니다. 이번 주에는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메타플랫폼스의 실적이 발표됩니다.
업종별로는 임의소비재와 필수소비재, 기술이 소폭 하락했습니다.
M7 중에선 애플과 메타, 테슬라가 강보합을 보인 반면 엔비디아는 2% 이상 떨어졌습니다.
엔비디아는 중국 기술기업 화웨이가 엔비디아 주력 제품 H100 칩을 대체할 고성능 인공지능(AI) 칩을 개발 중이라는 소식이 악재가 됐습니다.
세계 최대 항공기 제조사 보잉은 투자은행 번스타인이 투자의견을 ‘시장수익률’에서 ‘시장수익률 상회’로 상향 조정한 데 힘입어 주가가 2.44% 올랐습니다.
#뉴욕증시 #다우지수 #SP500 #나스닥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신주원(nanjuhe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