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EPA=연합뉴스 자료사진][EPA=연합뉴스 자료사진]

미국과 이란 간 핵 협상이 진행 중인 가운데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미국에 ‘훈수’를 두는 듯한 발언을 해 이란의 반발을 샀습니다.

현지시간 28일 타임스오브이스라엘 등 이스라엘 매체와 외신 보도에 따르면 네타냐후 총리는 전날 예루살렘에서 열린 언론 행사에서 “이란이 핵무기용 우라늄을 농축할 수 있는 능력을 제거하는 협상이야말로 실제 효과가 있는 협상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이란 핵 프로그램의 모든 기반 시설을 해체해야 하며, 이는 이란이 우라늄 농축 능력을 잃게 된다는 의미”라며 “우리가 받아들일 수 있는 합의는 이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또 이란의 탄도미사일 생산을 막는 방안도 협상에서 다뤄져야 한다며 “이란은 핵무기를 보유하지 않게 될 것”이라고 단언하기도 했습니다.

그는 미국과 이란이 이보다 느슨한 조건에 합의할 경우 이란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임기가 끝날 때까지 기다리며 시간을 끌 것이라고도 주장했습니다.

네타냐후 총리의 이런 발언은 이란과 핵 협상을 시작한 트럼프 행정부에 영향을 미치려는 의도라는 해석을 낳았습니다.

이란의 핵 협상 대표인 압바스 아락치 외무장관은 이날 엑스(X·옛 트위터)에 글을 올려 “트럼프 대통령이 이란과 외교 하면서 무엇을 할 수 있고 할 수 없을지에 대해 네타냐후가 노골적으로 지시하는 것이 놀랍다”라고 비난했습니다.

또 “이란은 악의적인 외부 세력이 이란의 외교정책을 방해하거나 좌지우지하려고 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강력하고 확신에 찬 역량을 갖췄다”며 “미국 측도 동일하게 확고한 입장이기를 바란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이어 “군사적 방안은 없으며, 군사적 해결책은 더더욱 없다”며 “어떠한 공격도 즉각 응징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란은 그간 진행된 미국과의 핵 협상에서 핵 프로그램과 제재 해제만 다룰 뿐 탄도미사일 프로그램 등은 의제가 될 수 없다는 점을 수차례 강조했습니다.

미국과 이란은 지난 26일 오만에서 3번째 핵 협상을 했고, 내달 3일 4차 대화를 계속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이후 회담은 유럽에서 열릴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네타냐후 #핵협상 #이란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권정상(jusang@yna.co.kr)

Share.

Leave A Reply